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영어공부
- 현재진행형
- 공조냉동
- 증발식
- 2017 ASME BPVC
- 냉방부하
- 응축기의 종류
- Present Continuous
- 현재시제
- 그래머인유즈
- HoiAn
- 자기계발
- 입자방사선
- 배관 공식
- NAE
- 난방부하
- 원자력의 이용
- condenser
- 공조냉동기계기사
- evacporator
- 20세기 위대한 공학기술
- 공조부하
- 증발기의 종류
- Simple present
- 기출정리
- 영어문법
- grammar in use intermediate
- 계약기간의 연장
- 호이안
- ASME
- Today
- Total
너와 나, 우리
압축기(Compressor) 본문
압축기
증발기에서 증발한 저온저압의 냉매가스를 재사용하기 위해 압축기에 흡입시켜 응축기에서 응축액화를 쉽게 할 수 있도록 압력을 상승시켜주며 냉매를 순환시켜주는 기기
①증발기에서 증발한 저온저압의 폐냉매가스의 재사용을 위해 응축 조건을 부여
②증발기에서 증발한 냉매가스를 신속히 배출시켜주므로 냉매액이 증발 부유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여 증발이 잘 되도록 한다.
압축기의 분류
1. 압축 방식에 의한 분류
(1) 용적(체적)형 압축기
일정한 공간에 흡입가스를 넣어 압축하는 방식
①왕복동식: 입형, 횡형, 고속다기통
②회전식: 로타리식, 나사식(스크류식), 스크롤식
(2) 터보 압축기
흡입가스를 임펠러(Impeller)로 가속하여 얻어진 속도에너지를 압력에너지로 변환시켜 가스를 압축하는 방식
①원심식
②축류식
③혼류식
2. 밀폐 구조에 의한 분류
(1) 개방형(Open type)
압축기를 기동하는 전동기(Motor)와 압축기가 분리되어 있는 구조
①직결 구동식: 압축기의 크랭크 축을 전동기 커플링(Coupling)에 연결하여 구동시키는 방식
②벨트 구동식: 압축기의 플라이휠(Flywheel)과 전동기의 풀리에 벨트(Velt)를 연결하여 구동시키는 방식
(2) 밀폐형(Hermetic type)
압축기와 전동기를 하나의 하우징(Housing)내에 내장시킨 구조
①반밀폐형: 볼트로 조립되어 있어 분해, 조립이 용이하고, 고·저압측에 서비스 밸브(Service Valve)가 부착되어 있다.
②전밀폐형: 하우징이 용접되어 있어 분해, 조립이 불가능하며 주로 저압측에 서비스 밸브가 부착되어 있다.
③완전밀폐형: 하우징이 용접되어 있어 분해, 조립이 불가능하고 서비스 밸브 대신 서비스 스니플(충전니플)이 부착되어 있다.
<개방형 압축기와 밀폐형 압축기와의 비교>
구분 |
개방형 |
밀폐형 |
장점 |
①압축기 회전수 조절 용이 ②분해조립이 가능, 수리시 용이 ③타 구동원에 의해 기동이 가능 ④냉매 및 오일의 충전이 가능 |
①과부하 운전이 용이 ②소음이 적음 ③냉매 및 오일누설이 없음 ④소형이며 경량으로 제작비가 적음 |
단점 |
①외형이 크므로 설치면적이 큼 ②소음이 커서 고장 발견이 어려움 ③냉매 및 오일의 누설우려가 있음 ④제작비가 많이 듬 |
①타 구동원에 의한 운전이 불가능 ②고장시 수리작업이 어려움 ③회전수의 조절이 불가능 ④냉매 및 오일의 교환이 어려움 |
'공조냉동기계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제5과목 배관일반_2013년 ~ 2016년 기출 공식 정리 (0) | 2017.08.17 |
---|---|
응축기(Condenser) (1) | 2017.07.31 |
냉매(Refrigerant) (0) | 2017.07.25 |
공조냉동기계기사 2016년 3회차 필기 요약정리 (0) | 2017.07.20 |
공조냉동기계기사 2016년 2회차 필기 요약정리 (0) | 2017.07.20 |